2020-2R 고려대학교 주창희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교재 :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20200903
호스트 혹은 종단 시스템 → 통신 링크와 패킷 스위치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로 연결됨.
저장-후-전달 Store-and-forward transmission
출력 링크로 패킷의 첫 비트를 전송하기 전에 전체 패킷을 받아야 함을 뜻함.
→ 즉, 전체 패킷이 모두 저장되었을 때 비로소 출력 링크로 패킷을 전송함.
시간에 라우터에 전송하고, 라우터는 저장 후 시간에 목적지로 전송하므로 총 의 지연 발생.
→ 저장-후-전달을 사용하는 이유는 라우터가 전달하기에 앞서 패킷을 처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
전달 테이블과 라우팅 프로토콜 Forwarding table and Routing protocol
인터넷에서 모든 종단 시스템은 IP 주소라고 하는 주소를 갖는다.
→ 소스는 패킷의 헤더에 목적지의 IP 주소를 포함시켜 패킷을 보낸다.
→ 라우터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의 일부를 조사하고, 그 패킷을 이웃 라우터로 보낸다.
→ 각 라우터는 목적지 주소를 라우터의 출력 링크로 맵핑하는 전달 테이블을 갖고 있다.
인터넷은 자동으로 전달 테이블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
회선 교환 네트워크 (ex. 전화망)
종단 시스템 간에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경로상에 필요한 자원 dedicated resource 은 세션 동안에 확보 또는 예약 된다. (패킷 교환에서는 X)
End-to-end resources allocated to, reserved for "call"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